본문 바로가기
독서

독서 교육 상담과 상담 환경

by 셀린0116 2024. 1. 15.
반응형

독서 교육 전문가의 역할과 상담

독서 교육은 가정생활, 학교생활, 생활 지도에 이르기까지 여러 교육과정과 인간 교육이 상호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 성격 자체도 국어교육학, 교육학, 심리학, 문헌 정보학, 등의 종합적인 방법에 의해 응용 학문으로 하나의 독립된 영역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독서 전문가는 독서 지도라는 한 가지의 역할만이 아니라 전인격적인 역할, 독서인 자체로서의 역할, 그리고 상담가로서의 역할 등 폭넓은 역할을 해야 한다.
 
독서 전문가의 역할 중에서 '일반적인 역할' 세 가지와 '상담가로서의 역할'에 대하여 어떠한 자세를 가져야 하는가를 알아보도록 한다.
 
인간은 되어 있는 존재가 아니라 되어 가는 존재, 즉 과정적 존재이다. 그러므로 배우는 학생이 한꺼번에 달라지지 않아도 변화하는 과정 속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인간에게는 욕구가 있고 그 욕구가 충족되어야 바람직한 행동을 하게 된다. 독서 교육에서 필요한 것이 독서에 대한 욕구, 즉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다. 독서가 하나의 습관이 되기까지는 시간과 지속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학생들의 욕구를 이해하여 욕구를 이해하여 독서 동기와 흥미로 연결시켜야 한다.
 
독서 능력은 독서 전문가의 가장 기본적인 능력이다. 독서 전문가는 독서 방법을 알고 책을 즐겨 읽을 수 있어야 하며 독서의 가치와 필요성을 분명하게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내가 알고 실행한 것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즐거움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독서 전문가는 학생들의 문식 환경을 조성할 수 있어야 한다. 흥미를 끄는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독서 동기를 높일 수 있고 글에 대한 이해와 감상 능력을 신장시켜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독서 과정과 내용에 대한 주인 의식을 갖게 하고 독서의 모든 활도에서 성장하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한다.
 
독서 전문가는 효율적인 교수.학습 계획을 세우고 조직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습자에 대하여 알아야 하고 개인차를 인식하고 이해하여 바람직한 수업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교사가 학생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있을 때 좀 더 도움이 되는 독서 수없을 할 수 있다. 수업 목표를 세우기 위해서는 사회에서의 요구 사항, 텍스트, 학생의 발달 수준, 교사의 지도 수준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에 대한 이해이다. 즉 학생의 발달 수준이나 독서 능력, 관심사, 고민 등에 대한 이해는 독서 수업의 성패를 가르는 핵심이고, 질 높은 수업의 요체이다.
 
학생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위해서는 학생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수집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이, 학년, 주변 환경등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가족 구성, 적성, 성격 검사, 특이 사항 등을 점검할 수 있다. 독서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형식적 검사와 비형식적 검사를 두루 사용하고 정의적 검사(태도검사)와 꼭 필요한 경우에는 학습 장애 여부 검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반응형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첨삭 실습  (1) 2024.01.30
과정 중심 글쓰기의 지도 전략  (1) 2024.01.18
진로 독서 교육의 개념과 필요성(2)  (0) 2024.01.15
진로 독서 교육의 개념과 필요성(1)  (0) 2024.01.15
발달과 독서의 관련성  (1) 2024.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