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진로 독서 교육의 개념과 필요성(2)

by 셀린0116 2024. 1. 15.
반응형

진로 독서 교육의 필요성

 

최근 매체의 발달로 아동과 청소년들은 이른바 좋은 직업, 인기 있는 직업을 선호하는 가치관이 뚜렷하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정보를 구하기 힘들고 진로에 대한 관심이 부족해 진로를 쉽게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진로에 대한 동기 결여이다. 우리나라 교육이 입시 위주의 시스템이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진로에 대해 고민할 기회를 주지 않는 것도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이 진로 독서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진로 독서 교육의 출발점은 진로에 대한 학습자의 자기 이해나 확신이다. 이는 학습자에게 진로에 대해 흥미를 갖고 자신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진로의 가능성을 자발적으로 탐구하도록 만드는 것과 연결된다. 학습자가 진로를 선택할 때 주변의 많은 사람들의 도움을 받는 것은 사실이지만 결국 최종적으로 자신의 선택이 가장 중요하다. 개인은 진로와 관련된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는데, 이것을 '자기효능감 이론' 이라 한다.
 
자기효능감이란 어떤 결과를 얻고자 하는 행동을 성공적으로 조직하고 수행해 낼 수 있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나타나는 구체적인 자신감이다. 자기효능감은 특수한 상황에서 어떤 결과를 성취하기 위해 요구되는 행동을 잘 해낼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개인적인 판단으로 이는 인간의 행동 수행 과정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과제 수행 여부, 노력의 정도, 지속성, 개인의 성취 수준에도 영향을 미친다. 즉, 인간의 행동 변화는 행위자 자신이 그 행동을 해낼 수 있다는 기대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진로 독서 교육은 학생들의 자기 효능감을 길러주어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독서 독서 동기를 유발고, 사고력 신장과 가치관 형성 등 진로 탐색과 관련된 학습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켜 교과 학업 성취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진로 독서 교육은 직업 세계에 대한 사실적이고 단편적인 지식을 얻는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진로에 대한 존재론적인 탐색을 하는 차원까지 나아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진로 독서 교육의 주요 내용은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독서를 수행한다.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기 이전에 학습자는 여러 진로와 관련된 책을 읽는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융합적인 사고가 발휘된다. 융합적인 사고를 통해 진로를 탐색함으로써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발상을 지닌 주체가 되는 것이다. 또한,  학습자는 독서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진로를 탐색함으로써 단일한 하나의 지적 능력을 넘어 다차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여러 지능 능력을 계발할 수도 있다.
 

 

반응형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정 중심 글쓰기의 지도 전략  (1) 2024.01.18
독서 교육 상담과 상담 환경  (0) 2024.01.15
진로 독서 교육의 개념과 필요성(1)  (0) 2024.01.15
발달과 독서의 관련성  (1) 2024.01.15
고전과 정전  (0) 2024.01.14